교신저자가 2명인 경우 어떻게 표기하나요?
논문에 교신저자가 두 명일 경우, 각 저자의 이름 오른쪽에 윗첨자 표시를 합니다. 만약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가 2명 이상이라면, 하단에 ‡ 또는 표시와 함께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라고 영어로 명시하여 동등한 기여를 명확히 합니다. 이를 통해 독자는 저자들의 역할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논문에서 교신저자는 연구의 전반적인 책임을 지고, 논문 게재 과정에서의 의사소통 창구 역할을 합니다. 최근 협업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교신저자가 두 명 이상인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때 저자 표기는 연구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단순히 이름 옆에 * 표시만으로는 각 저자의 기여도와 역할을 명확히 드러내기 어렵기 때문에, 더욱 세심한 표기법이 필요합니다.
본문에서 언급된 표시 외에도 여러 방법을 통해 두 명의 교신저자를 효과적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첫째, 저자 이름 옆에 서로 다른 기호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한 명에게는 를, 다른 한 명에게는 †를 사용하고 각주에 각 기호에 해당하는 저자의 소속과 연락처를 명시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간편하고 직관적이지만, 두 교신저자의 기여도가 동등한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둘째, 각주에 두 교신저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A 교수는 연구 설계 및 데이터 분석을 담당했으며, †B 교수는 원고 작성 및 수정을 담당했습니다.” 와 같이 각 저자의 기여 부분을 상세히 기록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각 저자의 전문성과 역할을 명확하게 보여주어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연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두 저자의 전문 분야가 다르거나 기여도에 차이가 있는 경우 유용합니다.
셋째, 본문에서 언급된 것처럼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라는 문구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두 교신저자가 연구에 동등하게 기여했음을 명시적으로 밝히는 방법으로, 공동 연구의 정신을 잘 반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기여도에 차이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 문구를 사용하는 것은 연구 윤리에 어긋날 수 있으므로 신중해야 합니다. 만약 기여도에 미세한 차이가 있다면,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A 교수는 주로 연구 설계를, B 교수는 주로 데이터 분석을 담당했습니다.” 와 같이 추가적인 설명을 덧붙여 오해의 소지를 없애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학술지의 투고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학술지마다 교신저자 표기 방식에 대한 규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투고 전에 반드시 해당 학술지의 가이드라인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표기해야 합니다. 학술지에서 특정 형식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라면, 위에서 언급된 방법들을 참고하여 상황에 맞는 적절한 표기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교신저자가 두 명일 경우 단순히 기호만 표기하는 것보다는 각 저자의 기여도와 역할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저자들 간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가장 적절한 표기 방법을 선택하고 학술지의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학문적 정직성을 유지하고 건강한 연구 문화를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공동저자 #교신저자 #저자답변에 대한 피드백:
의견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피드백은 향후 답변 개선에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