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설날에 먹는 음식은 무엇인가요?

17 조회 수

설날에는 세찬이라는 특별한 음식을 준비합니다. 떡국은 대표적인 음식이며, 세주라는 술도 함께 즐깁니다. 또한 족편, 다양한 종류의 전, 다채로운 과자와 후식, 식혜, 수정과, 갓 담근 김치 등 풍성한 음식이 차례상에 오르고 손님에게 대접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설날, 온 가족이 모여 덕담을 나누고 새해의 행복을 기원하는 소중한 명절입니다. 하지만 설날의 풍성함을 제대로 느끼려면 화려한 옷차림만큼이나 풍성한 음식들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단순히 끼니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조상에게 예를 표하고 가족의 화합을 다지는 의례적인 의미까지 담고 있는 설날 음식들은 그 자체로 하나의 풍경화입니다. 단순히 ‘먹는 것’을 넘어,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가 녹아있는 설날 음식의 세계로 함께 들어가 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단연 떡국입니다. 흰떡을 맑은 장국에 넣고 소고기나 계란을 곁들여 먹는 떡국은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인 음식입니다. 가정마다 떡의 모양이나 국물의 맛이 다르지만, 어떤 형태든 떡국 한 그릇은 설날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과 같습니다. 단순히 떡의 형태만으로도 가족의 정성과 손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손수 빚은 떡의 쫄깃함과 따뜻한 국물의 조화는 냉랭한 겨울 추위를 녹이고 마음까지 따스하게 녹여줍니다.

떡국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세찬’입니다. 세찬은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을 총칭하는 말로, 조상에게 드리는 제사상의 음식이자 가족들이 함께 나누어 먹는 음식이기도 합니다. 세찬의 구성은 지역이나 가정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풍성함과 다양성을 자랑합니다. 먼저, 잡채, 산적, 전(녹두전, 동태전, 두부전 등 다양한 종류), 그리고 탕(갈비찜, 육전 등) 등이 차례상의 중심을 이룹니다. 이는 조상에게 풍요로운 한 해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은 정성입니다. 특히 각종 전은 기름에 노릇하게 구워낸 고소한 향과 다채로운 색감으로 시각적인 즐거움까지 더합니다. 각 전의 재료는 계절과 가정의 사정에 따라 다르지만, 겨울의 차가운 공기를 뚫고 느껴지는 따뜻함과 풍성함을 선사합니다.

그리고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술입니다. 설날에는 ‘세주’라는 술을 빚어 조상에게 올리고 가족들과 함께 나눕니다. 막걸리나 약주가 주로 사용되며, 술 역시 정성과 공을 들여 만든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릅니다. 또한, 겨울철 추위를 녹여주는 따뜻한 식혜와 수정과는 입 안을 달콤하게 정화시켜줍니다. 달콤한 맛은 설날의 흥겨운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김치, 나물 등 밑반찬은 세찬의 풍성함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조연 역할을 합니다. 갓 담근 싱싱한 김치의 맛은 설날 음식의 감칠맛을 더하고, 나물 무침은 입 안을 상쾌하게 해줍니다.

이렇듯 설날 음식은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조상을 기리고 가족의 화합을 다지는 중요한 매개체입니다. 정성으로 준비한 음식 하나하나에는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가 깃들어 있으며, 그 풍성함은 새해의 희망과 풍요를 상징합니다. 설날 아침, 차례상에 정갈하게 차려진 음식들을 보며 느끼는 감동과 행복은 설날의 특별한 경험 중 하나일 것입니다. 음식 하나하나에 담긴 가족의 사랑과 정성을 느끼며, 새해의 밝은 기운을 함께 나누는 것, 그것이 바로 한국 설날 음식의 진정한 의미일 것입니다.

#떡국 #설날 음식 #한국 전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