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 논문의 글자 크기는 어떻게 되나요?

9 조회 수

학사 논문 작성 시, 한글은 명조체나 고딕체 계열 10-12포인트를, 영문은 Times New Roman 또는 Calibri 계열 10-12포인트를 사용하세요. 자간, 장평, 들여쓰기는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논문 작성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가독성 높은 논문을 완성하세요.

피드백 0 좋아요 수

학사 논문의 글자 크기 및 글꼴 가이드라인

학사 논문을 작성할 때 글자 크기와 글꼴 선택은 논문의 전반적인 외관과 가독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학계 기관에서 제시하는 일반적인 글자 크기 및 글꼴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면 논문이 전문적이고 일관성 있는 모습을 갖출 수 있습니다.

글자 크기

한글 사용 시, 논문의 주요 본문은 명조체 또는 고딕체 계열의 10-12포인트 글자 크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제목, 소제목, 표 및 그림의 캡션 등의 요소는 더 큰 글자 크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영문 사용 시, Times New Roman 또는 Calibri 계열의 10-12포인트 글자 크기가 주로 사용됩니다.

글꼴

한글

  • 명조체: 가독성이 우수하여 본문에 적합한 글꼴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글꼴입니다. 전통적인 서체로 인식됩니다.
  • 고딕체: 현대적이고 깔끔한 서체로, 간결하고 효율적인 표현에 적합합니다.

영문

  • Times New Roman: 학술 논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통적인 서체로, 가독성이 우수합니다.
  • Calibri: Times New Roman보다 모던하고 세련된 서체로,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타 고려 사항

  • 글자 간격(자간)과 행 간격(장평)을 적절히 조정하여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장문의 들여쓰기는 일관성 있게 사용하여 문단 구분을 명확하게 해줍니다.
  • 서체와 글자 크기를 변경할 때는 논문의 전체적인 통일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 자료

학사 논문 작성 가이드라인 및 사항은 학계 기관이나 해당 분야의 학회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숙지하고 따르면, 전문적이고 가독성 높은 학사 논문을 완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글자크기 #논문작성 #학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