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환자에게 망상이 나타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11 조회 수

치매 환자의 망상에 대응할 땐, 반박하거나 설득하려 하지 말고 환자의 감정을 공감하고 인정해주세요. 무섭거나 걱정되시겠네요와 같이 다독이는 말이 도움됩니다. 함께 잃어버린 물건을 찾거나, 규칙적으로 시간과 장소를 알려주는 것도 현실감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차분한 태도와 공감으로 불안감을 줄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치매 환자의 망상은 단순한 착각이나 기억력 감퇴의 문제를 넘어,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깊은 고통과 혼란을 야기하는 심각한 증상입니다. 단순히 “아니에요”, “그렇지 않아요”와 같은 반박은 오히려 환자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관계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치매 환자의 망상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단순히 진실을 알려주는 것을 넘어, 환자의 내면에 깊이 들어가 그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접근법이 필요합니다.

우선, 환자의 망상의 내용을 주의 깊게 들어야 합니다. 망상의 내용은 단순히 틀린 사실일 뿐만 아니라, 환자의 내면에 존재하는 불안, 공포, 슬픔 등 복잡한 감정들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내 돈을 누가 훔쳐갔어!”라는 망상은 단순히 돈이 없다는 사실을 넘어, 소중한 것을 잃어버렸다는 절망과 불안감, 자신의 존재가 위협받는다는 공포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망상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보다, 환자가 느끼는 감정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감정을 공감하고 인정하는 표현은 매우 효과적입니다. “돈이 없어졌다니 얼마나 속상하고 화가 나셨을까요,” “누군가 훔쳐갔다고 생각하시니 얼마나 무서우셨을까요” 와 같이, 환자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공감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괜찮아요”, “괜찮아질 거예요”와 같은 위로의 말은 오히려 진심이 전달되지 않고, 환자의 감정을 무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진심으로 환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환자의 말에 귀 기울이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망상의 내용에 직접 반박하는 대신, 환자의 감정에 초점을 맞춰 대화를 이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도둑이 들었다는 걱정 때문에 밤잠을 못 이루셨나요?” 와 같이 질문하며 대화를 유도하고, 불안감을 해소해 줄 수 있는 구체적인 해결책을 함께 모색할 수 있습니다. 함께 잃어버린 물건을 찾아보는 행위 자체가 환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만약 찾지 못하더라도 “열심히 찾아봤지만, 아쉽게도 찾지 못했네요. 하지만 우리가 함께 노력했으니 다음에는 꼭 찾을 수 있을 거예요” 와 같이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일상적인 생활 리듬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식사와 수면 시간, 익숙한 환경 유지 등은 환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환자의 망상이 심각하거나 스스로 또는 타인에게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면,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신과 전문의의 진료와 상담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최적의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치매 환자의 망상은 단순히 극복해야 할 문제가 아닌, 환자의 내면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함께 소통해야 하는 과정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대처방법 #망상 #치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