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중복장애 선정기준은 무엇인가요?

13 조회 수

중복장애 학생 선정은 학생의 특수교육 및 관련 서비스 필요성을 개별 교육지원팀에서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결정합니다. 일반 교육만으로는 충분한 교육적 지원을 받을 수 없는 학생이어야 하며, 학습 부진의 원인이 부적절한 교수방법이나 환경적, 문화적, 경제적 요인이 아닌, 장애 자체에 기인해야 합니다. 즉, 장애로 인해 추가적인 지원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중복장애 학생 선정은 학생의 다양한 장애와 관련 서비스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이루어집니다. 개별 교육지원팀(IEP 팀)은 학생의 장애가 학업적 성취와 학교 환경에서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합니다.

IEP 팀이 중복장애 학생을 선정하기 위해 고려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장애의 유형과 심각성:

학생의 장애는 중등도 이상의 심각성이어야 하며, 다음과 같은 여러 영역에 영향을 미쳐야 합니다.

  • 학습과 인지 기능
  • 언어와 의사소통
  • 사회적, 정서적 기능
  • 신체적 기능

2. 장애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

학생의 장애로 인해 일반 교육 과정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만으로는 충분한 교육적 지원을 받을 수 없어야 합니다. 장애로 인해 학생이 학습 목표를 달성하고 학교 환경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야 합니다.

3. 학업적 성취:

학생의 학업적 성취는 장애로 인해 상당히 낮아야 합니다. 학생은 읽기, 쓰기, 수학과 같은 핵심 과목에서 연령 및 학년 수준 대비 크게 뒤지고 있어야 합니다.

4. 기능적 한계:

학생은 장애로 인해 학교 환경에서 기능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어야 합니다. 이러한 기능적 한계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대인 관계 상호 작용
  • 자기 조절 및 관리
  • 문제 해결
  • 대처 메커니즘

5. 추가 지원의 필요성:

학생은 장애를 극복하고 학업적 진도와 여타 학생들과 동등한 참여를 위해 상당한 수준의 추가 지원이 필요해야 합니다. 이러한 지원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맞춤화된 교수 방법
  • 보조 기술
  • 치료 서비스
  • 행동 개입

IEP 팀이 학생의 필요성을 심도 있게 평가한 후에야 중복장애 학생으로 선정될 수 있습니다. 이 선정 과정은 학생이 적절한 교육적 지원과 서비스를 받아서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장애 #중도 #중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