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내에 물을 반입할 수 있나요?

12 조회 수

국제선 항공편 이용 시 액체류 반입 규정이 적용됩니다. 100ml/100g을 초과하는 액체는 기내 반입이 불가하며, 보안 검색 과정에서 압수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액체류는 위탁 수하물로 부치는 것을 권장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항공기 탑승 시 물 반입, 가능할까요? 단순히 ‘물’이라는 단어만으로는 명확한 답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물론, 목이 마르다고 생수 한 병을 가지고 비행기에 오르는 것이 불가능한 건 아니지만, 그 ‘물’의 형태와 양, 그리고 탑승하는 항공편의 종류에 따라 상황이 달라집니다. 국내선과 국제선, 그리고 LCC(저비용항공사)와 FSC(풀서비스항공사)의 규정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가능하다’, ‘불가능하다’로 단정 지을 수 없습니다.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국제 민간 항공기구(ICAO)의 규정입니다. 테러 위협으로부터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2006년부터 시행된 액체류 반입 규정은 전 세계 대부분의 공항에서 준수되고 있습니다. 이 규정에 따라 100ml(밀리리터) 또는 100g(그램)을 초과하는 모든 액체류는 기내 반입이 제한됩니다. 여기서 ‘액체류’는 물론 생수, 음료수, 스프레이, 화장품, 젤, 샴푸, 로션 등 다양한 형태의 액체, 반액체, 겔 형태의 물질을 포함합니다.

그렇다면 국제선 항공편의 경우, 100ml 이하의 생수병 하나 정도는 기내에 반입이 가능할까요? 원칙적으로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용기의 크기만 고려해서는 안 됩니다. 보안 검색대에서 직원의 판단에 따라 제지될 수도 있습니다. 용기가 손상되었거나 내용물이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반입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또한, 100ml 이하라 하더라도 여러 개의 용기에 나눠 담은 액체류의 총량이 100ml를 초과하면 안 됩니다. 각 용기는 100ml 이하의 용량을 지녀야 하며, 투명한 지퍼백에 모두 담겨 있어야 합니다. 이 지퍼백 또한 1L(리터)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국내선의 경우, 국제선에 비해 규정이 다소 느슨하지만, 항공사별로 기내 반입 가능한 액체류의 양과 종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탑승 전 항공사 웹사이트나 고객센터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국내선에서도 보안 강화 추세에 따라 규정이 더욱 엄격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항공기 내 물 반입은 가능하지만, ‘어떤 종류의 물’, ‘얼마나 많은 양’, ‘어떤 항공편’에 따라 허용 여부가 달라집니다. 국제선 여행 시에는 액체류 반입 규정을 숙지하고, 불필요한 불편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액체류는 위탁 수하물로 부치는 것이 좋습니다. 국내선이라 하더라도, 항공사의 규정을 미리 확인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여행을 계획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안전하고 편안한 여행을 위해, 항공사의 규정을 미리 확인하고 준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작은 실수가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물 #반입 #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