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서 많은 것 3가지는 무엇인가요?

23 조회 수

제주도를 상징하는 삼다삼무는 돌, 바람, 여자가 많고 도둑, 거지, 대문은 없다는 뜻입니다. 화산섬 제주는 돌과 바람이 풍부하고, 해녀 문화로 여성의 사회적 활동이 두드러졌기에 이런 표현이 생겨났습니다. 과거의 이야기지만, 제주의 독특한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제주도에서 ‘많다’는 것, 그 이상의 의미: 삼다(三多)를 넘어선 현재적 가치

제주도를 묘사하는 대표적인 표현인 ‘삼다삼무(三多三無)’는 과거 제주도의 독특한 사회, 문화, 자연환경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상징과 같습니다. 돌, 바람, 여자가 많고 도둑, 거지, 대문이 없다는 이 간결한 문장은 단순히 물질적인 풍요나 결핍을 넘어, 제주도민들의 삶의 방식과 정신을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제주도를 방문하고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삼다’는 단순히 과거의 유산으로만 머물러 있을까요? 저는 제주도를 여행하며 ‘삼다’라는 키워드를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하고, 그 의미를 확장해 보고자 합니다.

1. 돌(石): 척박함 속에서 피어난 생명력과 예술혼

과거 제주도민들에게 현무암으로 대표되는 ‘돌’은 척박한 땅을 일궈내야 하는 고난의 상징이었습니다. 농사를 짓기 어려운 환경 속에서 돌담을 쌓아 바람을 막고 밭을 일구는 것은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노력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제주도의 돌은 단순한 장애물을 넘어, 제주도의 독특한 풍경을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검은 현무암 돌담길은 제주도의 상징이 되었고, 돌을 활용한 예술 작품은 섬 곳곳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특히, 버려진 돌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예술가들의 노력은 척박함 속에서 생명력을 피워내는 제주도의 정신을 잘 보여줍니다. 돌은 이제 제주도민들의 삶을 억압하는 존재가 아닌, 예술적 영감을 불어넣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존재로 변모했습니다.

2. 바람(風): 역경을 이겨내는 강인함과 자연과의 공존

제주도의 강한 바람은 과거에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고 삶을 힘들게 하는 존재였습니다. 하지만 제주도민들은 거센 바람에 맞서 꿋꿋하게 살아왔고, 바람을 이용한 풍력 발전은 제주도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람은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만들어내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억새밭이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풍경 중 하나이며, 바람은 서핑과 같은 해양 스포츠를 즐기기에 좋은 환경을 제공합니다. 제주도의 바람은 이제 단순히 극복해야 할 대상이 아닌, 에너지를 생산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내는 긍정적인 존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바람을 통해 얻는 에너지를 통해 자연과 공존하려는 제주도의 노력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3. 여자(女): 강인한 생명력과 공동체 의식

제주도의 ‘여자’는 해녀로 대표되는 강인한 여성상을 상징합니다. 거친 바다에서 물질을 하며 가족을 부양하는 해녀들의 모습은 제주도의 역사를 대변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과거에는 남성들이 어업에 종사하는 동안 여성들은 밭농사와 물질을 하며 생계를 책임지는 경우가 많았고, 이러한 역할 분담은 제주도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오늘날 해녀 문화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해녀들은 제주도의 전통 문화를 지키고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주도 여성들은 공동체 의식이 강하고 서로 협력하며 살아가는 문화가 발달했습니다. 이러한 공동체 의식은 제주도의 사회적 결속력을 강화하고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제주도 여성들의 강인한 생명력과 공동체 의식은 미래 사회가 지향해야 할 가치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제주도의 ‘삼다’는 과거의 유산을 넘어 현대적인 의미를 부여받고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척박한 환경을 극복하고 자연과 공존하며 살아가는 제주도민들의 삶의 방식은 우리에게 많은 영감을 줍니다. 제주도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삼다’라는 키워드를 통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결하는 의미를 발견하고, 제주도의 진정한 가치를 느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도 제주도는 ‘삼다’를 바탕으로 더욱 풍요롭고 아름다운 섬으로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

#돌 #바람 #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