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캐시된 사이트를 어떻게 검색하나요?

10 조회 수

아, 구글 캐시요! 예전에 접속 안 되던 사이트 급하게 봐야 할 때 정말 유용하죠. 일단 구글에서 찾으려는 사이트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나온 사이트 주소 옆에 점 세 개짜리 아이콘이 있을 거예요. 그걸 누르면 캐시됨이라는 항목이 뿅! 하고 나타나는데, 그걸 클릭하면 구글이 저장해둔 예전 모습 그대로 볼 수 있답니다. 정말 신기하고 고마운 기능이에요. 😉

피드백 0 좋아요 수

아, 맞아요, 구글 캐시! 진짜 가끔씩 엄청 유용하잖아요. 웹사이트 갑자기 막혔을 때, 혹은 뭐 업데이트되기 전 버전 다시 보고 싶을 때… 저도 얼마 전에 진짜 급하게 자료 찾아야 했는데, 사이트가 먹통인 거예요! 으악! 진짜 식은땀 났는데, 그때 구글 캐시 생각나서 살았죠. 휴…

구글에서 그냥 평소처럼 검색하면 돼요. 찾는 사이트 이름이나 주소 같은 거. 그럼 검색 결과 나오잖아요? 거기서 찾는 사이트 주소 옆에… 음… 작은 점 세 개 있을 거예요. 회색으로 된… 그거 누르면 짠! 하고 “캐시됨”이라고 뜨거든요? 그거 클릭하면 끝! 뭔가 타임머신 타고 과거로 돌아간 느낌? 약간 옛날 모습 그대로 떠서 신기하기도 하고.

(저는 옛날 싸이월드 미니홈피 없어지기 전에 구글 캐시로 몇 개 저장해놨었어요. 추억이 새록새록… 아련…)

근데, 모든 사이트가 다 캐시되는 건 아니더라고요. 아마 뭐 로봇이 접근 못 하게 막아놓은 곳도 있고… 뭐 그런 거겠죠? 그리고 시간이 좀 지나면 캐시도 업데이트 되는 것 같아요. 정확히 언제 업데이트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암튼 100% 믿지는 말고 참고용으로 쓰는 게 좋을 것 같아요. 혹시 몰라서 하는 말이에요!

아, 그리고 팁 하나! 캐시된 페이지에서 이미지 같은 거 볼 때는 주소창에 “cache:” 이거 다음에 사이트 주소 넣어보세요. 가끔 이미지 안 뜨는 경우 있는데 이렇게 하면 보일 때도 있어요. 저도 인터넷에서 주워들은 팁인데… 꽤 유용하더라고요! 헤헤.

#검색 방법 #구글 검색 #캐시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