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역동사의 해석은?

4 조회 수

사역 동사는 단순히 시키는 의미를 넘어, 주어가 다른 대상에게 특정 행동을 유발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동사입니다. 이는 직접적인 지시뿐 아니라 허락, 설득, 강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문맥에 따라 그 의미가 미묘하게 달라집니다. 예시로는 make, have, let 등이 있습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사역 동사란, 주어가 다른 대상에게 특정 행동을 유도하거나 영향을 미치게 하는 동사입니다. 단순히 지시하는 것을 넘어서서 허락, 설득, 강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문맥에 따라 의미가 미묘하게 달라집니다.

사역 동사의 특징:

  • 다른 대상에게 영향을 미침: 사역 동사는 주어가 직접 행동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대상에게 행동을 하도록 합니다.
  • 의지나 의사 표현: 주어가 다른 대상에게 행동을 하도록 하는 것은 주어의 의지나 의사가 표현됩니다.
  • 목적어가 두 개 이상: 사역 동사는 일반적으로 직접 목적어(행동을 수행하는 대상)와 간접 목적어(행동의 결과를 받는 대상)를 가집니다.

사역 동사의 종류:

사역 동사는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명령 또는 지시: “make” (하도록 만들다), “order” (명령하다), “command” (명령하다)
  • 허락 또는 허용: “let” (하도록 허락하다), “allow” (허용하다), “permit” (허가하다)
  • 설득 또는 권유: “persuade” (설득하다), “convince” (납득시키다), “urge” (촉구하다)
  • 강제 또는 억압: “force” (강제하다), “compel” (강요하다), “coerce” (억압하다)
  • 원인 또는 결과: “have” (하도록 하다), “cause” (원인이 되다), “result in” (결과를 낳다)

사역 동사 사용 시 주의 사항:

  • 목적어의 위치: 직접 목적어는 일반적으로 간접 목적어보다 먼저 옵니다.
  • 시제: 사역 동사는 주어의 의사나 목적을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시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수동태: 사역 동사는 수동태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예시:

  • 명령: “The teacher made the students write an essay.”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에세이를 쓰게 했습니다.)
  • 허락: “The parents let their children go to the party.” (부모님은 자녀들이 파티에 가도록 허락했습니다.)
  • 설득: “The coach persuaded the team to play harder.” (코치는 팀에게 더 열심히 플레이하도록 설득했습니다.)
  • 강제: “The police forced the suspect to confess.” (경찰은 용의자에게 자백하도록 강제했습니다.)
  • 원인: “The accident had caused a lot of damage.” (사고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사역 동사는 주어가 다른 대상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상황을 표현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의미와 사용법을 이해하면 한국어에서 복잡한 문장을 구성하고 의사소통을 명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문법 규칙 #사역 동사 #해석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