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폰트 사이즈는 어떻게 되나요?

15 조회 수

논문 본문은 10포인트 신명조, 장평 100%, 자간 0, 줄간격 180%, 들여쓰기 10으로 작성합니다. 각주는 9포인트 신명조를 사용하며, A4 용지(210x297mm)에 한글(hwp) 파일로 작성해야 합니다. 용지 크기와 파일 형식 준수도 중요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논문 작성, 특히 폰트 크기와 관련된 규정은 논문의 종류, 제출 대상 기관, 심지어 지도교수의 선호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기준과 그 이유를 살펴봄으로써, 제시된 규정의 배경과 논리적인 타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문에서는 제시된 10포인트 신명조 논문 폰트 규정을 중심으로, 그 선택의 이유와 다른 요소들과의 조화, 그리고 잠재적인 문제점까지 다각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제시된 규정은 논문 본문에 10포인트 신명조를 사용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10포인트는 일반적인 문서 작성에서 많이 사용되는 크기이며, 가독성과 공간 효율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이룬다고 평가받습니다. 너무 작은 크기는 읽는 데 어려움을 야기하고, 너무 큰 크기는 페이지 수를 불필요하게 늘려 비효율적입니다. 신명조는 획이 굵고 명확하며, 가로 세로 비율이 안정적이어서 장시간 읽어도 눈의 피로도가 낮은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신명조는 고딕체에 비해 조금 더 엄숙하고 전통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에, 논문의 주제나 분야에 따라 다른 서체를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미술 관련 논문에서는 더욱 시각적인 효과를 위해 다른 서체를 선택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장평 100%, 자간 0은 글자 간 간격과 글자 내부 간격을 기본값으로 유지하여 가독성을 최대한 확보하려는 의도를 보여줍니다. 줄 간격 180%는 넉넉한 여백을 확보하여 문단과 문단 사이의 시각적인 구분을 명확히 하고, 읽는 사람의 편의성을 고려한 것입니다. 180%라는 수치는 너무 넓지도, 너무 좁지도 않은 적절한 수치로 판단됩니다. 만약 줄 간격이 너무 좁다면, 문장들이 뭉쳐 보여 가독성이 떨어지고, 반대로 너무 넓다면 페이지 수가 불필요하게 증가하게 됩니다. 들여쓰기 10은 각 문단의 시작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구분해 주어 전체적인 논문의 구조를 파악하기 쉽게 합니다.

각주는 9포인트 신명조를 사용하는데, 이는 본문보다 작은 크기를 사용하여 본문 내용의 가독성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본문과 같은 크기의 폰트를 사용하면 각주가 본문과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전체적인 레이아웃의 균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A4 용지(210x297mm)와 한글(hwp) 파일 형식은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표준 규격으로, 일관성과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른 형식이나 크기의 용지를 사용하면 출력이나 공유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심사위원들이 논문을 검토하는 데 불편함을 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제시된 규정은 가독성, 효율성, 그리고 표준화를 고려하여 설정된 합리적인 기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므로, 논문의 목적과 특성에 맞춰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도교수와의 충분한 상의를 통해 규정을 준수하면서도 논문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각 기관이나 학회에서 제시하는 별도의 규정이 있다면 그것을 우선적으로 따라야 함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논문 #크기 #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