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담관 결석은 무엇인가요?

23 조회 수

담낭에서 생성된 담석이 총담관을 막으면 총담관결석증이 발생합니다. 이는 심한 복통과 황달, 간 기능 저하를 유발하며 방치 시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복부 초음파 및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등으로 진단하며, ERCP를 통한 담석 제거 또는 담낭절제술이 주요 치료법입니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총담관 결석, 침묵의 암살자: 그 실체와 대처법

우리 몸의 소화 과정은 정교하고 복잡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간에서 생성된 담즙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담즙은 지방의 소화와 흡수를 돕는 필수적인 물질입니다. 담즙은 간에서 생성되어 담낭에 저장되었다가 필요에 따라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바로 ‘총담관 결석’이 그 예시입니다.

총담관 결석은 담낭에서 생성된 담석이 담낭을 벗어나 총담관을 막아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담석은 콜레스테롤, 담즙 색소, 칼슘염 등이 뭉쳐져 만들어지는 작은 돌멩이 같은 것으로, 크기는 모래알처럼 작은 것부터 몇 센티미터에 달하는 것까지 다양합니다. 이러한 담석이 총담관을 막으면 담즙의 흐름이 차단되어 다양한 증상과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단순히 담석이 있다고 해서 모두 증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총담관을 막을 정도로 큰 담석이나 여러 개의 담석이 총담관을 막으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위급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총담관 결석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심한 복통입니다. 이는 막힌 총담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며, 복부의 오른쪽 상단 또는 중앙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증의 강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해질 수 있으며, 등이나 오른쪽 어깨로 퍼져나가기도 합니다. 또한, 담즙의 배출이 차단되면서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황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변이 진해지고 대변이 옅어지는 것도 흔한 증상입니다. 더불어, 간 기능 저하로 인해 피로감,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발열과 오한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총담관 결석은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비교적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는 통증 없이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총담관 내 담석의 유무와 크기를 확인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정확한 진단과 담석의 위치, 크기 등을 더 자세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ERCP는 내시경을 통해 총담관을 직접 관찰하고 담석을 제거하는 시술이 가능한 검사이기도 합니다.

총담관 결석의 치료는 담석 제거가 가장 중요합니다. ERCP를 통해 내시경적으로 담석을 제거하거나, 필요에 따라 수술적 방법인 개복술 또는 복강경 수술을 통해 담석을 제거하고 담낭을 절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담석이 작고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경과 관찰을 할 수도 있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급성 담낭염이나 췌장염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총담관 결석은 방치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증상 중 하나라도 나타난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고,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망설이지 말고 의사와 상담하십시오.

#담관 결석 #원인 증상 #치료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