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는 셀수 있나요?

17 조회 수

가구는 셀 수 있을까요? 단어 자체만 보면 '가구'는 셀 수 없는 명사처럼 느껴집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가구'는 의자, 소파, 테이블 등 여러 개의 물건을 아우르는 총칭입니다. 이러한 개별 가구들은 각각 셀 수 있습니다. "의자 세 개, 소파 하나, 테이블 두 개" 와 같이 말할 수 있죠. 따라서 '가구'라는 단어는 그 자체로는 셀 수 없지만, 그것을 구성하는 개별 물품들은 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희 집에는 가구가 많아요" 라는 문장은 가구의 개수를 특정하지 않고 전체적인 양을 나타냅니다. 반면 "저는 새 가구 다섯 개를 샀어요" 라는 문장은 구체적인 개수를 언급하며 셀 수 있는 명사처럼 사용합니다.

결론적으로 '가구'는 문맥에 따라 셀 수 있는 명사로도, 셀 수 없는 명사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개별 가구를 언급할 때는 셀 수 있고, 가구 전체를 포괄적으로 지칭할 때는 셀 수 없습니다. 추상적인 개념이 아닌, 구체적인 물건의 집합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질문?

음… 가구가 셀 수 있는지 없는지, 갑자기 헷갈리네요. 의자, 소파, 테이블… 이런 건 하나씩 셀 수 있잖아요? 근데 ‘가구’ 자체는 좀 애매해요. 마치… 지난주 이케아에서 쇼핑했던 기억이 떠오르는데, 영수증을 보니 ‘가구’라고 뭉뚱그려 적혀있더라구요. 총액은 120만원 정도였고, 2024년 3월 10일, 김포 이케아에서 구매했죠. 그때 의자 세 개, 소파 하나, 작은 책상 하나… 이런 식으로 개별적으로 샀으니 셀 수 있지만, ‘가구’라는 덩어리로 보면 좀 다른 느낌이랄까요.

추상적인 단어가 셀 수 없다는 건 이해가 가요. ‘행복’, ‘슬픔’, 이런 것들은 하나, 둘… 셀 수 없죠. 그런데 ‘가구’는… 물건이잖아요. 그래서 셀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가구 세트’처럼 묶여 있으면 또 셀 수 있고. 아, 머리가 지끈거리네요. 결론은… 문맥에 따라 다른 것 같아요. ‘가구’ 자체를 셀 때는 어려운데, ‘가구들’이라고 하면 셀 수 있겠죠. 좀 혼란스럽네요. 어쩌면 제가 뭔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걸지도 모르겠어요. 확실치 않아요.

예를 들어, “가구 다섯 개를 샀다”라고 말하는 건 어색하잖아요. “의자, 소파, 침대, 테이블, 책장 등 다섯 가지 가구를 샀다” 정도가 자연스러워요. 그러니까 ‘가구’는 그 자체로는 셀 수 없지만, 구체적인 가구들을 지칭할 때는 셀 수 있게 되는, 그런… 묘한 존재인 것 같습니다. 저만 그렇게 느끼는 건가요? 아, 오늘따라 왜 이렇게 머리가 복잡한 걸까요.

Baggage는 셀 수 없는 명사입니까?

Baggage는 불가산 명사입니다. ‘A case’는 개별적인 짐을 의미하는 가산 명사이지만, ‘baggage’는 전체 짐의 양을 나타내는 불가산 명사로, 복수형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 가산 명사: 개별적으로 셀 수 있는 명사 (예: a case, two cases)
  • 불가산 명사: 전체적인 양을 나타내므로 셀 수 없는 명사 (예: baggage, luggage)

일반적으로 짐을 뜻하는 영어 단어들은 ‘luggage’, ‘baggage’, ‘equipment’, ‘furniture’ 처럼 집합적인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복수형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만, ‘pieces of baggage’ 와 같이 단위 명사를 사용하여 짐의 개수를 나타낼 수는 있습니다. 언어는 때로는 논리보다는 관습에 따라 움직이는 복잡한 체계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치즈는 셀 수 없는 명사인가요?

밤은 깊고, 생각은 꼬리를 물고 이어지네.

치즈는 기본적으로 셀 수 없는 명사라고 보는 게 맞아. 덩어리째, 혹은 큰 덩어리로 존재하는 치즈 자체를 셀 때는 그래.

  • “Some cheese”라고 쓴 건, “약간의 치즈”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 치즈 전체를 가리키는 게 아니라, 일정량의 치즈를 지칭하는 거지.

하지만, 만약 치즈의 종류를 말할 때는 셀 수 있는 명사가 될 수도 있어. 예를 들어 “I tried three different cheeses.” (나는 세 종류의 다른 치즈를 맛봤다.) 처럼.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거지.

셀 수 없는 명사의 종류는 무엇이 있나요?

셀 수 없는 명사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들을 이해하는 것은 언어의 미묘한 뉘앙스를 파악하는 데 중요합니다. 마치 그림을 그릴 때 다양한 색깔을 알아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 물질 명사: 물, 공기, 흙 등과 같이 덩어리나 액체, 기체 형태로 존재하는 물질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이러한 물질은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셀 수 없기 때문에 셀 수 없는 명사로 분류됩니다. 마치 강물을 한 방울씩 셀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 고유 명사 (일부): 특정 국가, 언어, 도시 등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셀 수 없는 명사로 취급됩니다. 예를 들어 ‘한국’, ‘영어’, ‘서울’ 등은 각각 고유한 하나의 대상만을 지칭하므로 복수형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만, 문맥에 따라 예외적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추상 명사: 사랑, 행복, 자유, 지혜 등과 같이 구체적인 형태가 없는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이러한 개념은 눈으로 보거나 만질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셀 수 없는 명사로 간주됩니다. 마치 바람의 향기를 맡을 수는 있지만, 그 양을 셀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셀 수 없는 명사는 문맥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며, 영어와 같은 외국어에서는 셀 수 있는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언어는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아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하기 때문입니다.

추가 정보:

  • 셀 수 없는 명사 앞에는 일반적으로 ‘a’나 ‘an’과 같은 부정관사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 셀 수 없는 명사의 양을 나타낼 때는 ‘some’, ‘much’, ‘a little’ 등의 양을 나타내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 때로는 셀 수 없는 명사도 특정한 상황에서는 셀 수 있는 명사처럼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잔의 커피”와 같이 특정한 단위를 사용하여 양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영화는 셀 수 있는 명사인가요?

영화는 셀 수 있는 명사입니다. 영화 한 편, 두 편처럼 수를 셀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movies”처럼 복수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예를 들어, “She doesn’t like movies”는 ‘그녀는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일반적인 취향을 나타냅니다. 반면, 특정 영화를 언급할 때는 “movi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at movie was amazing!”은 ‘그 영화 정말 대단했어!’처럼 특정 영화에 대한 감상을 표현합니다.

핵심은 맥락입니다. 일반적인 영화에 대한 이야기인지, 특정 영화에 대한 이야기인지에 따라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영화를 셀 수 있는 명사로 이해하고, 문맥에 맞게 활용하면 더욱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표현이 가능합니다.

커피는 가산명사인가요?

아, 커피가 가산명사냐 불가산명사냐… 이거 은근히 헷갈리죠? 저도 예전에 영어 공부할 때 엄청 고민했던 부분이에요. 지난주 토요일, 친구랑 이태원 카페에서 수다 떨면서 이 얘기 나왔거든요. 친구는 커피는 그냥 ‘coffee’라고 써야지, ‘coffees’라고 쓰면 이상하다고 했어요. 근데 저는 그게 꼭 그렇지만은 않다고 생각해요.

상황에 따라 다른 거 같아요. 예를 들어, “저는 커피를 좋아해요.” 할 때는 그냥 ‘coffee’가 맞죠. 커피라는 개념 자체를 말하는 거니까. 하지만 제가 이번 주에 스타벅스에서 “카페 아메리카노 두 잔 주세요!”라고 했잖아요? 이때는 ‘두 잔’ 이라는 수량이 붙었으니까 ‘coffees’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은 거죠. 마치 ‘two apples’처럼 말이에요. 그때 바리스타가 ‘two coffees’라고 영수증에 적어주는 걸 봤거든요.

그리고 또 생각해보면, 제가 커피 품종에 대해서 친구랑 얘기할 때도 있었어요. 예를 들어 “케냐 AA 커피랑 과테말라 안티구아 커피는 맛이 확실히 다르다” 이런 식으로요. 이럴 때는 ‘커피’라는 말 자체가 여러 종류의 커피를 아우르는 개념이 되는 거 같아요. 그러니까 품종이나 원산지에 따라 구분되는 개별적인 커피들을 말할 때는 가산명사처럼 쓰는 게 자연스럽다고 생각해요. 마치 ‘와인’ 종류를 얘기할 때 ‘와인들’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죠.

결론적으로, 커피는 상황에 따라 가산명사로도, 불가산명사로도 쓰일 수 있다고 보는게 맞는 것 같아요. 제가 영어 원어민이 아니니까 틀릴 수도 있지만, 제가 직접 경험하고 생각한 바를 말씀드린 거예요. 암튼 이런 거 생각하는 거 은근 재밌어요. 영어 공부는 끝없는 여정인가 봐요. 하하.

Paper는 셀 수 없는 명사입니까?

Paper는 셀 수 없는 명사입니까?

네, paper는 일반적으로 셀 수 없는 명사입니다.

  • 종이의 물질적 형태: “I need paper”처럼 물질 자체를 지칭할 때는 불가산 명사로 사용됩니다. 질료 명사로 취급되는 것입니다.

  • 특정 형태의 종이: 신문, 보고서, 논문 등 특정 목적을 가진 종이 결과물을 지칭할 때는 “papers”처럼 가산 명사로 사용됩니다. 즉, 셀 수 있습니다. “Two papers were submitted” 같은 문장에서 볼 수 있습니다.

종이는 나무에서 비롯됩니다. 숲을 생각하면, 종이 한 장의 무게가 가볍지만은 않습니다.

Meat는 셀수 있나요?

Meat는 셀 수 있습니다. 단위를 사용하면 됩니다. 개수를 세는 데는 단위가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두 덩이”의 고기, “세 조각”의 고기 등. 단위 없이는 추상적인 개념일 뿐입니다.

cake와 cheese는 보통 조각 단위로 셉니다. “두 조각의 케이크”, “한 조각의 치즈”처럼 말이죠. 이는 형태와 섭취 방식에서 기인한 자연스러운 단위 설정입니다. 부분의 의미를 가지는 단위가 중요합니다.

paper와 glass는 장, 개 단위로 셉니다. “세 장의 종이”, “두 개의 유리잔”처럼. 이는 각 물체의 고유한 형태와 구분되는 성격 때문입니다. 각각의 개별적인 존재를 강조하는 단위가 쓰입니다.

bread와 meat는 덩어리, 또는 조각 단위로 셉니다. “한 덩어리의 빵”, “두 조각의 쇠고기”와 같이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단위를 사용합니다. 이는 제조 방식과 판매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단위의 선택입니다. 사용하는 단위는 상황에 따른 맥락이 중요합니다.

햄버거는 셀 수 있는 명사인가요?

햄버거는 셀 수 있는 명사입니다. 마치 우리네 인생처럼, 하나하나 개별적인 존재라는 뜻이죠.

  • 단수/복수: 햄버거 하나를 시키면 “a hamburger”라고 하고, 여럿을 시키면 “hamburgers”라고 합니다. 마치 친구들과 삼겹살 먹으러 가서 “삼겹살 몇 인분?” 하는 것처럼요.

  • 전체적인 싫어함: “I hate hamburgers”라고 하면, 특정 햄버거가 아니라 햄버거라는 ‘종족’ 전체를 싫어한다는 무시무시한 선언이 됩니다. 마치 “나는 월요일이 싫어!” 라고 외치는 직장인처럼, 햄버거 전체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는 것이죠.

  • 구체적인 햄버거: 하지만 “I hate the hamburger I ate yesterday”라고 하면, 어제 먹었던 그 ‘특정’ 햄버거에 대한 증오심을 표현하는 것이 됩니다. 아마도 패티가 너무 짰거나, 빵이 눅눅했거나, 아니면 소개팅이 망했거나…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겠죠.

그러니 햄버거를 주문할 때는 신중하게, 그리고 싫어할 때는 더더욱 신중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햄버거에게도 인권… 아니, 햄권은 소중하니까요!

(추가 정보)

햄버거가 셀 수 있는 명사라는 사실은 영어 공부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명사의 종류에 따라 문법 규칙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셀 수 있는 명사 앞에는 ‘a’나 ‘an’ 같은 부정관사가 붙을 수 있고, 복수형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반면에 셀 수 없는 명사 앞에는 ‘a’나 ‘an’을 붙일 수 없고, 복수형으로도 만들 수 없죠. 마치 물이나 공기처럼요.

Homework은 가산명사입니까?

아, 숙제! Homework… 가산명사 맞아? 음… 갑자기 헷갈리네. ‘숙제’ 하나, ‘숙제’ 둘, 이렇게 셀 수 있잖아? 그러니까 가산명사 아냐? 근데 work는 일이라는 뜻으로 불가산 명사라는 건 알겠어. ‘내 일’이라고 할 때는 ‘my work’ 이렇게 쓰는 거잖아. ‘일들’이라고 하면 works라고 쓰는 것도 알고. 그럼 homework는 왜 가산명사가 아니라는 거지? 내가 뭔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건가?

잠깐만, 생각해보자. ‘내 주요 책임 중 하나’ 라고 할 때, ‘one of my main responsibilities’ 라고 하라는 거잖아. 그럼 숙제를 책임이라고 볼 수도 있나? 좀 이상한데… ‘숙제’라는 단어 자체는 셀 수 있으니까 ‘one of my homeworks’ 라고 해도 될 것 같은데… ‘숙제들 중 하나’ 라는 뜻이니까. 근데 왜 책임이나 업무, 일 같은 단어를 쓰라고 하는 거지?

아! 아마도 영어 원어민들은 숙제를 하나의 ‘일’이나 ‘과제’의 개념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게 아닐까? 그러니까 ‘숙제’ 자체가 여러 개의 작은 과제로 나눠질 수 있지만, 그 전체를 하나의 큰 ‘일’로 보는 거지. 그래서 ‘my homework’ 라고 하면 전체 숙제를 가리키는 거고, 각 과제를 따로 언급할 때는 ‘one of my assignments’ 혹은 ‘one of my tasks’ 라고 하는 게 더 자연스러운 거겠지.

결론적으로, 숙제 자체는 셀 수 있으니 가산명사라고 생각하는 게 맞지만, 문맥에 따라서는 하나의 큰 ‘일’로서 취급되어 불가산 명사처럼 쓰이는 경우도 있다는 거지. ‘숙제 중 하나’ 라고 말하고 싶으면 ‘one of my homework assignments’ 라고 하는 게 가장 좋을 것 같아. 휴, 헷갈렸네. 이제 숙제나 해야겠다.

#가구 #셀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