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국할 때 해외에서 산 약을 국내에 반입할 수 있나요?

27 조회 수

해외에서 구매한 약의 국내 반입은 일반의약품의 경우, 총 150달러 이하, 6병 이내, 3개월 복용량까지는 면세 통관이 가능합니다. 전문의약품은 국내에서 처방이 필요한 약품이므로, 반드시 의사 처방전을 함께 준비해야 반입이 허용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해외에서 구매한 약, 한국으로 안전하게 가져오는 방법: 꼼꼼 가이드

해외여행이나 유학, 이민 생활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올 때, 짐 정리만큼이나 신경 쓰이는 것이 바로 해외에서 구매한 약품입니다. 특히 건강 관리를 위해 꾸준히 복용하던 약이 있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무턱대고 짐에 넣어 가져왔다가는 세관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반입 자체가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귀국 시 해외에서 산 약을 국내로 반입하는 절차와 주의사항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약품 종류에 따른 반입 기준 이해:

우선, 약품은 크게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으로 나뉩니다. 일반의약품은 약국에서 의사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는 약이며, 전문의약품은 반드시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 구매 가능한 약입니다.

  • 일반의약품: 비교적 규제가 덜하지만, 면세 범위 내에서만 반입이 허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총 150달러 이하, 6병 이내, 3개월 복용량까지는 면세 통관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반입 자체가 거부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구매 전에 가격과 수량을 미리 확인하고, 면세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전문의약품: 전문의약품은 국내에서 처방이 필요한 약품이므로, 더욱 엄격한 기준이 적용됩니다. 반드시 의사의 처방전을 함께 준비해야 반입이 허용됩니다. 처방전은 원본이 가장 좋지만, 사본이나 전자 처방전도 인정될 수 있습니다. 다만, 세관에 따라 요구하는 서류가 다를 수 있으므로, 미리 관세청에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처방전에는 환자의 이름, 약품명, 용량, 복용 방법, 의사의 서명 등이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

2. 반입 금지 약품 확인:

모든 약품이 한국으로 반입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마약류, 향정신성의약품, 흥분제 등과 같이 국내에서 불법으로 규정된 약품은 반입이 엄격히 금지됩니다. 또한, 동물용 의약품이나 일부 성분이 포함된 약품도 반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귀국 전에 반드시 관세청 홈페이지나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에서 반입 금지 약품 목록을 확인하고, 해당되는 약품은 절대로 반입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만약 반입 금지 약품을 소지하고 입국하다 적발될 경우,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세관 신고 및 관련 서류 준비:

해외에서 구매한 약품을 가지고 입국할 때는 세관에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세관 신고서에 약품의 종류, 수량, 가격 등을 정확하게 기재하고, 필요한 서류를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 일반의약품: 구매 영수증, 약품 설명서 등을 준비합니다.

  • 전문의약품: 의사 처방전, 약품 설명서, 구매 영수증 등을 준비합니다. 처방전은 영문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필요한 경우 번역본을 함께 제출해야 할 수 있습니다.

세관 신고는 입국 시 세관 신고대를 통해 직접 할 수도 있고,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미리 전자 신고할 수도 있습니다. 전자 신고를 하면 입국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4. 정보 획득 및 사전 문의:

약품 반입과 관련된 규정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귀국 전에 반드시 관세청 홈페이지 (www.customs.go.kr)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 (www.mfds.go.kr)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궁금한 점이 있다면 관세청 고객센터 (1577-8577)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처 민원 상담 센터 (1577-1255)에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5. 여행자 휴대품 면세 한도 고려:

해외에서 구매한 약품은 여행자 휴대품 면세 한도에 포함됩니다. 즉, 약품 외에 다른 물품을 함께 구매했을 경우, 총 구매 금액이 면세 한도를 초과하면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품 구매 시 여행자 휴대품 면세 한도를 고려하여 구매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해외에서 구매한 약을 국내로 반입하는 것은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위에서 제시된 가이드라인을 꼼꼼히 따르면 안전하고 문제없이 약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미리 준비하고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여 즐겁고 안전한 귀국길이 되기를 바랍니다.

#귀국수입 #약물반입 #해외약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