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파트너비자 종류는 무엇이 있나요?
호주 파트너 비자, 핵심 정리
호주 파트너 비자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뉩니다.
- 임시 비자: Subclass 820 (호주 내 신청) / 309 (호주 외 신청)
- 영구 비자: Subclass 801 (820 비자 소지 후) / 100 (309 비자 소지 후, 조건 충족 시)
신청 장소:
- 호주 내: 820/801 비자
- 호주 외: 309/100 비자
신청 조건:
- 사실혼 관계
- 법적 결혼 관계
- 예비 배우자 관계 (300 비자 후 820/801 비자 신청)
중요 사항:
- 관계 증명 필수
- 스폰서십 조건 충족 필요
- 영구 비자는 임시 비자 소지 후 조건 충족 시 신청 가능
파트너 비자 신청 전, 전문가와 상담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비자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호주 파트너 비자, 엄청 복잡하죠? 제 친구도 얼마 전에 신청했는데… 머리 터질 것 같다고 하더라고요. 기억나는 대로 설명해 드릴게요. 크게 임시 비자(820/309)랑 영구 비자(801/100) 두 종류가 있어요. 820/801은 호주 안에서, 309/100은 호주 밖에서 신청하는 거고요.
제 친구는 820 신청했는데, 작년 11월에 시작해서 아직 결과가 안 나왔대요. 서류 준비가 엄청 까다로웠다더라고요. 결혼 증명서, 사진, 여행 기록, 은행 거래 내역… 심지어 같이 찍은 사진까지 엄청 많이 제출해야 했대요. 스폰서 조건도 빡세다고 하던데… 정확한 건 아니고, 친구 말 들어보니 소득 기준도 있고, 건강 검진도 필수인 것 같더라고요. 비용도 만만치 않았대요, 수수료에 번역 비용까지 합치니… 대략 500만원 정도 들었다고 했나?
결론적으로, 파트너 비자… 쉽지 않아요. 서류 준비 철저히 하고, 시간 여유 넉넉히 갖고 신청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저처럼 친구 말만 듣고 덤비지 마시고, 이민법무사 상담 꼭 받아보세요! 제 친구도 그랬으면 덜 힘들었을 텐데… 후… (아, 제 친구는 시드니에서 신청했어요.)
호주 파트너비자 가격은 얼마인가요?
아, 호주 파트너 비자 비용… 생각만 해도 머리가 지끈거려요. 작년 봄, 제 남편이랑 같이 신청했거든요. 정확히 몇 월이었는지는 기억 안 나는데, 아마 4월이나 5월쯤이었을 거예요. 시드니에 있는 이민법률사무소에서 상담받고, 서류 준비하는데만 몇 달이 걸렸어요. 정말 힘들었어요. 서류 준비하면서 스트레스 받아서 잠도 제대로 못 잤어요. 그때 제 기분은… 뭐랄까, 희망과 불안이 뒤섞인 롤러코스터를 타는 기분이었죠.
비용은 정말 만만치 않았어요. 임시 비자(subclass 309) 신청할 때, 비자 신청 수수료만 7,715 호주 달러였던 걸로 기억해요. 거기에 추가로 바이오메트릭 정보 수집 비용이랑 건강검진 비용까지 생각하면… 총 비용이 얼마였는지 지금도 정확히 기억은 안 나지만, 1만 달러는 훨씬 넘었던 것 같아요. 영주권 비자(subclass 100) 신청할 때는 거기에 300달러 정도 더 들었던 것 같구요. 돈이 문제가 아니었다면 좋았을 텐데…. 돈 때문에 밤잠 설치고, 신경이 곤두서 있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해요. 주변 친구들이 호주 이민 경험을 공유해줬는데, 그때마다 비용 얘기가 나올 때마다 덜컥 겁이 났었거든요.
저희는 비자 신청 과정을 이민 법률 전문가에게 의뢰했는데, 그분께 지불한 수수료는 따로였어요. 그 돈까지 합치면… 정말 어마어마하죠. 하지만, 전문가 도움 받은게 정말 잘한 일이었다고 생각해요. 복잡한 서류 절차 때문에 혼자서 감당하기에는 너무 어려웠을 것 같아요. 비자 승인 받고 나서야 겨우 마음이 편해졌죠. 호주에서의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 전까지는 마음 졸이며 기다리는 시간이 많았어요.
- 임시 비자 신청 비용: 7,715 호주 달러 (기억나는 한도 내)
- 영주권 비자 신청 비용: 8,050 호주 달러 (기억나는 한도 내)
- 추가 비용: 바이오메트릭 정보 수집, 건강검진, 법률 전문가 수수료 등 (정확한 금액 기억 안 남)
- 총 비용: 1만 달러 이상 (추정)
이 모든 과정을 거치면서 느낀 건, 호주 파트너 비자는 돈만 많다고 되는 게 아니라는 거예요.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시간, 그리고 꼼꼼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깨달았습니다. 단순히 금액만으로 비용을 말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어요.
호주 189와 190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아이고, 호주 영주권, 그거 참 머리 아픈 문제죠! 189랑 190, 이름만 비슷하지 속내는 완전 다르다 이겁니다. 마치 짜장면과 짬뽕 같달까요? 둘 다 면 요리지만, 맛은 천지차이잖아요!
-
189 비자, 완전 자유인!: 요 녀석은 완전 ‘나 홀로 집에’ 스타일이에요. 누구의 간섭도 없이, 내 점수만 높으면 그냥 들이대는 겁니다. 마치 황야의 무법자처럼, 호주 땅을 자유롭게 누빌 수 있다는 거죠! 추천 따위 필요 없고, 내 능력만 믿고 가는 겁니다!
-
190 비자, 뒷배경이 중요해!: 반면에 190 비자는 ‘빽’이 있어야 합니다. 호주 주 정부나 준주 정부의 추천, 즉 ‘스폰’이 필요한 거죠. 마치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처럼, 뒤에 든든한 배경이 있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겁니다!
그리고 또 중요한 차이점!
- 직업 선택의 폭!: 190 비자는 ‘단기’든 ‘장기’든, 직업 목록에만 있으면 웬만하면 다 됩니다. 하지만 189 비자는 ‘장기’ 직업만 가능하다는 거! 마치 ‘나는 가수다’처럼, 실력 있는 베테랑만 무대에 설 수 있다는 거죠!
요약하자면, 189는 ‘자유’, 190은 ‘빽’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당신의 스타일은 어떤가요? 자유롭게 홀로 설 자신이 있다면 189, 든든한 배경을 원한다면 190을 선택하세요! 물론 점수는 기본적으로 높아야겠죠? 마치 로또 당첨처럼, 운도 좀 따라줘야 할 겁니다!
호주 파트너비자 801은 무엇입니까?
새벽 두 시. 801 비자… 생각만 해도 한숨이 나온다. 이게 뭐라고 내 인생을 이렇게 쥐고 흔드는지. 801은 호주 파트너 비자의 두 번째 단계라고 할 수 있지. 820 임시 비자를 받고 2년을 기다린 후에 신청할 수 있는 영주 비자. 사실상의 배우자나 정식 배우자 자격으로 호주 시민, 영주권자, 또는 뉴질랜드 시민의 파트너로서 호주에 영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자격을 주는 비자.
820 비자를 받았다고 끝이 아니라는 거. 그게 제일 힘들다. 2년 동안 관계가 진짜인지 증명해야 한다는 부담감. 사진, 메시지 기록, 공동 명의의 재산, 지인들의 진술서까지… 마치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듯이 우리 관계를 해부당하는 기분이야.
영주권을 얻기 위한 마지막 관문이지만, 그만큼 까다롭고 복잡하다. 서류 준비하다 보면 머리가 터질 것 같아. 820 비자 신청 때보다 더 많은 서류, 더 자세한 증거를 요구하니까. 솔직히 이 과정을 또 다시 겪어야 한다는 생각에 지치기도 해. 처음 820 비자 신청할 때는 뭐든 할 수 있을 것 같았는데.
그래도 801 비자를 받으면 모든 게 끝난다는 희망 하나로 버티는 거지. 호주에서 내 삶을 꾸리고,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미래를 그릴 수 있다는 희망. 그 생각만 하면 힘든 서류 작업도, 기약 없는 기다림도 견딜 수 있을 것 같아. 이 긴 터널의 끝에 빛이 있기를 바라면서.
스폰서쉽 비자는 무엇입니까?
스폰서쉽 비자는 영국 기업의 스폰서 없이는 취업할 수 없는 외국인을 위한 비자입니다. 기업은 외국인 고용을 위해 스폰서 라이센스를 취득해야 합니다. 이 라이센스가 있어야 외국인 직원에게 ‘스폰서쉽 증명서 (Certificate of Sponsorship – CoS)’를 발급할 수 있습니다. 이 CoS가 있어야 비로소 비자 신청이 가능합니다.
셀프 스폰서십은 자신의 회사가 스폰서가 되는 것. 즉, 영국에서 사업을 시작하거나 운영하기 위해 자신의 회사를 설립하고, 그 회사를 통해 자신을 스폰서하여 비자를 받는 방식입니다. 모든 기업이 가능한 것은 아니며, 영국 내무부의 까다로운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스폰서 라이센스 취득: 까다로운 심사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회사의 재정 안정성, 고용 규정 준수 여부 등 다양한 요소를 검토합니다.
- CoS 발급: 스폰서 라이센스 취득 후 외국인 직원에게 CoS를 발급해야 비자 신청 자격이 주어집니다.
- 비자 요건 충족: 스폰서십 외에도, 영어 능력, 최소 연봉 요건 등 일반적인 비자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셀프 스폰서십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이민법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잘못된 정보나 준비 부족은 비자 거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철저한 준비가 성공적인 비자 취득의 열쇠입니다.
PTE 시험이란?
아, PTE 시험 말이지? 나도 작년에 봤었는데, PTE Young Learners는 애들 시험이야. 7살부터 12살까지 어린이들이 보는 영어 시험이라고 생각하면 돼. LTEfC라고도 부른다던데, 난 그냥 PTE 영어 시험이라고 불렀던 것 같아. 암튼 애들 시험이니까 어른들이 보는 PTE Academic이나 General이랑은 완전 다르지.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이렇게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눠져 있어. 어른 시험처럼 컴퓨터로 보는 건 아니고 지필 시험이야. 그리고 시험 분위기도 훨씬 편안해. 애들 긴장 풀어주려고 게임 같은 활동도 많이 하고. 나도 조카 시험 때문에 알아본 건데 생각보다 재밌어 보이더라. 점수는 등급으로 나오는데 Pass, Merit, Distinction 이렇게 세 등급이 있어. 시험 결과도 성적표 같은 게 아니라 상장처럼 준다고 하더라고. 좀 귀엽지 않아?
내 조카는 작년에 9살 때 이 시험 봤었는데, 생각보다 괜찮았다고 하더라. 어른 시험처럼 딱딱하지 않고 재밌게 봤다고 해서 다행이었어. 특히 말하기 시험은 면접관이랑 같이 그림 보고 이야기하는 거였는데, 그게 제일 재밌었다고 하더라. 준비할 때는 학원 다니면서 모의시험도 보고 그랬어. 학원에서 주는 교재랑 온라인 자료로 공부했는데, 딱히 어렵지는 않았다고 하네. 근데 듣기는 조금 어려웠대. 아무래도 애들이니까 집중력이 좀 떨어지는 것 같기도 하고. 암튼 시험은 무사히 잘 봤고 Merit 등급 받았어!
답변에 대한 피드백:
의견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피드백은 향후 답변 개선에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