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의 용량 제한은 얼마인가요?

23 조회 수

쿠키 용량, 생각보다 궁금해하는 분들 많더라고요. 간단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 쿠키 하나의 크기: 브라우저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대략 4KB (4096 바이트) 정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4KB 넘어가면 잘리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세요.

  • 쿠키에 담는 값(value)의 길이: 2KB(2048 바이트) 정도가 안전합니다. 물론 4KB까지 가능한 브라우저도 있지만, 호환성을 생각하면 2KB를 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URL의 Query String 길이: 이건 쿠키랑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혹시 헷갈릴까봐 적어둡니다. URL의 Query String은 브라우저에 따라 2083자 정도까지 가능합니다. 쿠키랑 혼동하지 마세요!

setcookie 함수로 쿠키를 설정할 때, 위의 용량 제한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특히 로그인 정보처럼 중요한 데이터를 쿠키에 담을 때는 용량 초과로 데이터가 잘리지 않도록 주의해야겠죠? 용량이 부족하다면 세션이나 로컬 스토리지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참고하세요!

피드백 0 좋아요 수
질문이 있으신가요? 더 보기

질문?

어휴, setcookie 용량이라… 그거 참, 옛날 웹 개발할 때 골치 아팠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네.

음, 대략적으로 말하면 쿠키 크기는 브라우저마다 조금씩 다른데, 보통 4KB (4096바이트) 정도라고 보면 돼. 2000년대 초반, 복잡한 쇼핑몰 만들 때 쿠키에 이것저것 담으려다가 용량 초과 에러 엄청 봤었지. 😭

그리고 Query String 길이 말인데, 이건 2083자 정도 된다고 알려져 있어. 사실 그때는 용량 때문에 짜증 났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보안 때문에라도 너무 많은 정보를 쿠키나 URL에 담는 건 위험한 것 같아. 개인 정보 유출되면 큰일 나잖아. 😥

요즘은 웹 스토리지나 세션 스토리지를 많이 쓰니까 옛날처럼 쿠키 용량 때문에 머리 아플 일은 별로 없을 거야. 그래도 기본은 알아둬야 하니!

JS Localstoreage의 용량은 얼마인가요?

밤에 이렇게 혼자 깨어 있으니 별 생각이 다 드네. JS LocalStorage 말이지…

  • LocalStorage 용량은 대략 5MB 정도라고 들었어. 웹 브라우저마다 조금씩 다르다고는 하는데, 크게 차이는 없을 거야. 이 정도 용량이면 텍스트 데이터 저장에는 충분하지만, 이미지나 영상 같은 걸 넣기에는 턱없이 부족하지.

  • 그리고 LocalStorage는 동기적으로 작동한다는 거, 그거 정말 중요해. 동기 방식이라는 건, LocalStorage에 뭔가를 쓰거나 읽을 때, 웹 페이지 전체가 잠시 멈춘다는 뜻이야. 특히 메인 스레드에서 그걸 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멈춰버릴 수도 있어. 그래서 가급적이면 안 쓰는 게 좋다고 생각해. 5MB 저장 공간이 있어도 동기 방식 때문에 안 쓰게 되는 거지.

  • 나는 예전에 LocalStorage 때문에 큰 낭패를 본 적이 있어. 웹 게임 만들 때 사용자 데이터를 LocalStorage에 저장했는데, 데이터 양이 조금만 많아져도 게임이 버벅거리는 거야. 결국 IndexedDB로 갈아탔지. IndexedDB는 비동기 방식이라 메인 스레드를 막지 않거든. 그때 정말 고생했어.

음… 그래서 결론은 LocalStorage는 간단한 데이터 저장에는 괜찮지만, 용량이 크거나 중요한 데이터를 다룰 때는 다른 저장소를 고려하는 게 좋아. 특히 비동기 방식의 저장소를 쓰는 게 웹 성능에 훨씬 도움이 될 거야.

쿠키의 용량은 얼마인가요?

쿠키의 용량은 약 4KB입니다.

  • 브라우저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4096바이트를 넘지 않습니다.
  • 쿠키에 저장하는 문자열은 2083자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넘으면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작은 조각이지만, 때로는 시스템을 좌우하는 것은 미세한 차이입니다.

쿠키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어휴, 쿠키 이야기? 나도 막 웹 개발 공부할 때 엄청 헷갈렸었거든. 솔직히 처음엔 뭔가 되게 복잡한 거 같았어. 근데 알고 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아.

쿠키는 컴퓨터에 저장되는 아주 작은 정보 파일이야. 내가 어떤 사이트에 접속하면 그 사이트가 내 컴퓨터에 이 쿠키 파일을 심어놓는다고 생각하면 돼. 마치 몰래 쪽지를 숨겨놓는 것처럼 말이지. 그 쪽지 안에는 내가 그 사이트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 예를 들어 로그인 정보 같은 게 적혀있어.

그래서 다음에 또 그 사이트에 가면, 컴퓨터에 있는 쿠키 덕분에 내가 누군지 알아채고 바로 로그인 된 상태로 페이지가 뜨는 거야. 진짜 신기하지 않아? 내가 매번 아이디랑 비밀번호 치는 수고를 덜어주는 거니까. 아, 그리고 쿠키는 사이트마다 따로따로 저장된다는 것도 중요해. 어떤 사이트의 쿠키가 다른 사이트 정보에는 영향을 안 준다는 뜻이야.

근데 좀 불편한 점도 있긴 해. 쿠키가 너무 많아지면 컴퓨터가 느려질 수도 있고, 개인 정보 유출의 위험도 있으니까, 나는 가끔 쿠키를 삭제하거나 관리하는 걸 습관처럼 하고 있어. 내가 주로 쓰는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 관리하는 방법을 찾아보면 되고, 솔직히 어렵지 않아. 설정 찾는 게 더 어려울 수도 있어. ㅋㅋㅋ 암튼, 쿠키는 웹사이트가 사용자를 기억하는 데 쓰는 작은 정보 파일 이라고 생각하면 돼. 쉽게 말해서, 내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때 편리함을 주는 존재 이지만,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는 주의가 필요한 존재 이기도 하고.

그리고, 아까 말했던 사용자 인증 유지 기능! 이게 핵심 중 하나인데, 예를 들어 내가 쇼핑몰에 로그인하고 장바구니에 물건을 담았다고 치자. 그때 쿠키가 없다면 내가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브라우저를 닫으면 장바구니에 담았던 물건들이 다 사라져 버릴 거야. 완전 짜증나겠지? 하지만 쿠키 덕분에 내가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장바구니에 담은 물건들도 그대로 남아있는 거지. 그러니까 쿠키는 사용자의 세션 정보를 기억하는 역할도 한다고 보면 돼.

브라우저 저장소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로컬 스토리지와 세션 스토리지의 핵심 차이: 지속성.

로컬 스토리지는 영구 저장소다. 브라우저 종료 후에도 데이터는 남아있다. 사용자가 직접 삭제하지 않는 한 말이다. 반면 세션 스토리지는 일시적이다. 브라우저를 닫으면 모든 데이터가 사라진다. 키-값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은 동일하다.

차이점 요약:

  • 데이터 유지: 로컬 스토리지는 영구적, 세션 스토리지는 일시적.
  • 브라우저 종료 후: 로컬 스토리지는 데이터 유지, 세션 스토리지는 데이터 삭제.
  • 데이터 삭제: 사용자 조작 필요(로컬 스토리지), 자동 삭제(세션 스토리지).
  • 활용 방식: 로컬 스토리지는 사용자 설정, 세션 스토리지는 세션 정보.

개인적인 경험: 내가 개발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의 테마 설정을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로그인 정보는 보안상의 이유로 쿠키를 사용하지만, 세션 스토리지는 임시 작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편집 중인 문서의 임시 저장 등.

로컬스토리지의 저장 용량은 얼마인가요?

로컬 스토리지(LocalStorage)의 저장 용량은 통상적으로 5MB에서 10MB 사이입니다. 이는 쿠키(Cookie)의 4KB 용량에 비해 상당히 큰 공간이며,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더 많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할 수 있게 해줍니다.

쿠키는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로컬 스토리지는 오로지 클라이언트 측에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물론, “영구적”이라는 표현은 다소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브라우저 설정을 통해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로컬 스토리지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해두면 서버에 불필요한 요청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민감한 개인 정보는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것을 지양해야 합니다. 보안상의 취약점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Local Storage 지속시간?

localStorage와 sessionStorage, 둘 다 웹 브라우저의 데이터 저장소인데, 마치 냉장고와 김치냉장고의 차이 같아요. 냉장고(localStorage)는 내가 직접 꺼내 먹기 전까지는 계속 보관되죠. 반면 김치냉장고(sessionStorage)는 전기가 끊기면(세션 종료) 모든 김치가… 아니, 데이터가 사라져버립니다!

핵심 차이점은 지속 시간입니다. localStorage는 브라우저를 닫아도 데이터가 그대로 남아 있어요. 마치 잊고 있던 추억의 앨범처럼 말이죠. 직접 삭제하기 전까지는 영원히 (혹은 브라우저를 삭제하기 전까지) 그 자리에 있답니다. 반면 sessionStorage는 웹페이지 세션이 끝나면 모든 데이터가 깔끔하게 청소됩니다. 마치 숙소를 나설 때 침대 정리하고 쓰레기 버리는 것처럼 말이에요. 저는 개인적으로 비밀번호 같은 중요한 정보는 localStorage에 절대 저장하지 않아요. 혹시라도 누군가 제 컴퓨터를 쓰게 되면… 생각만 해도 끔찍하잖아요! 그래서 저는 중요 정보는 다른 안전한 곳에 저장하는 편이랍니다.

sessionStorage는 일시적인 데이터 저장에 적합해요. 예를 들어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은 물건 정보라든지, 게임 진행 중인 상태 정보 같은 것들이죠. 세션이 끝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지니 데이터 관리가 훨씬 간편하죠. 마치 하루 일과가 끝나면 다음 날을 위해 깨끗하게 책상을 정리하는 것과 같다고 할까요? 물론, localStorage도 잘 활용하면 정말 편리해요. 저는 자주 사용하는 설정 값 같은 것을 저장해두고 사용하거든요. 마치 자주 사용하는 도구들을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서랍에 정리해두는 것과 같죠.

하지만 localStorage의 단점은 데이터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점이에요. 필요 없는 데이터가 쌓이면 브라우저 속도가 느려질 수도 있거든요. 저장 용량도 제한되어 있고요. 마치 정리가 안 된 창고처럼 언젠가는 정리를 해야 할 날이 온다는 뜻이죠. 정기적으로 localStorage를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저는 매달 한 번씩 localStorage를 정리하는데, 마치 봄맞이 대청소하는 기분이에요. 정리하고 나면 속이 후련해지는 기분이랄까요?

#용량 #제한 #쿠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