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을 실행할 때 스팀 자동 실행을 어떻게 끄나요?

15 조회 수

컴퓨터를 켤 때마다 스팀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막으려면, 스팀 설정에서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스팀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상단 메뉴에서 Steam을 클릭하고 설정으로 들어가세요. 인터페이스 탭에서 컴퓨터를 시작할 때 Steam 실행 옵션을 찾아 체크 해제하면 됩니다.

피드백 0 좋아요 수

게임 실행 시 스팀 자동 실행 끄기: 쾌적한 PC 환경 만들기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라면 스팀(Steam) 플랫폼에 익숙할 것입니다. 방대한 게임 라이브러리와 편리한 다운로드 기능, 커뮤니티 기능 등 다양한 장점을 제공하지만, 컴퓨터를 켤 때마다 스팀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불편함을 느끼는 사용자도 많습니다. 특히 PC 성능이 낮거나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스팀의 자동 실행은 시스템 리소스를 점유하여 전반적인 작업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스팀 자동 실행을 끄는 방법은 간단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이 기능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윈도우 시작 시 불필요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PC 성능 최적화의 기본이며, 스팀 자동 실행 끄기는 그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이제 스팀 자동 실행을 끄는 다양한 방법과 함께, 스팀 사용 경험을 더욱 쾌적하게 만들 수 있는 추가적인 팁을 알아보겠습니다.

1. 스팀 설정 변경:

가장 일반적이고 간단한 방법은 스팀 자체 설정에서 자동 실행 옵션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 스팀 실행: 스팀 클라이언트를 실행합니다.
  • 설정 메뉴 접근: 스팀 창의 좌측 상단에 있는 “Steam” 메뉴를 클릭하고, 드롭다운 메뉴에서 “설정”을 선택합니다.
  • 인터페이스 탭 선택: 설정 창 좌측 메뉴에서 “인터페이스” 탭을 클릭합니다.
  • 자동 실행 옵션 해제: “컴퓨터를 시작할 때 Steam 실행” 또는 유사한 문구의 체크 박스를 찾아 체크를 해제합니다.
  • 확인 및 재시작: 설정 창 하단의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 사항을 저장하고, 스팀을 재시작합니다.

2. 작업 관리자 활용:

스팀 설정 외에도, 윈도우 작업 관리자를 통해 시작 프로그램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 작업 관리자 실행: Ctrl + Shift + Esc 키를 동시에 눌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 시작 프로그램 탭 이동: 작업 관리자 상단의 “시작 프로그램” 탭을 클릭합니다. (윈도우 10 이하 버전에서는 “시작” 탭)
  • Steam 비활성화: 목록에서 “Steam Client Bootstrapper” 또는 유사한 이름의 항목을 찾아 선택하고, 우측 하단의 “사용 안 함” 버튼을 클릭합니다.
  • 재시작: 컴퓨터를 재시작하여 변경 사항을 적용합니다.

3.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msconfig) 활용 (고급 사용자):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는 윈도우의 부팅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잘못 사용하면 시스템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고급 사용자에게만 권장합니다.

  • 실행 창 열기: Windows 키 + R 키를 동시에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 msconfig 입력: 실행 창에 “msconfig”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시작 프로그램 탭 이동: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창 상단의 “시작 프로그램” 탭을 클릭합니다.
  • Steam 비활성화: 목록에서 “Steam Client Bootstrapper” 또는 유사한 이름의 항목을 찾아 체크를 해제합니다.
  • 적용 및 확인: 창 하단의 “적용” 버튼을 클릭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재시작: 시스템 재시작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 사항을 적용합니다.

4. 레지스트리 편집기 활용 (최고급 사용자, 매우 신중해야 함):

레지스트리 편집기는 윈도우 시스템의 핵심 설정을 변경하는 도구입니다. 잘못된 레지스트리 편집은 시스템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사용자만 시도해야 합니다. 반드시 백업을 수행하고 진행해야 합니다. 레지스트리를 잘못 수정하면 컴퓨터가 부팅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실행 창 열기: Windows 키 + R 키를 동시에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 regedit 입력: 실행 창에 “regedit”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레지스트리 경로 이동: 다음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 Steam 항목 삭제: 오른쪽 창에서 “Steam” 또는 유사한 이름의 항목을 찾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삭제”를 선택합니다.
  • 재시작: 컴퓨터를 재시작하여 변경 사항을 적용합니다.

추가적인 팁:

  • 스팀 클라우드 활용: 게임 진행 상황을 클라우드에 저장하여 PC를 포맷하거나 다른 PC에서 게임을 즐길 때도 이어서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 게임별 자동 업데이트 설정: 특정 게임만 자동 업데이트를 활성화하여, 다른 게임의 업데이트로 인한 시스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스팀 다운로드 지역 변경: 다운로드 속도가 느린 경우, 스팀 설정에서 다운로드 지역을 변경하여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스팀 자동 실행을 끄는 것은 간단하지만, PC 성능을 최적화하고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를 막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위에서 제시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설정을 선택하고, 더욱 쾌적한 PC 환경에서 게임을 즐기세요. 또한, 스팀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더욱 풍부한 게임 경험을 만들어나가시길 바랍니다.

#스팀 #자동 실행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