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신고에서 등록기준지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5 조회 수

혼인신고 시 등록기준지, 쉽게 알아보기

혼인신고서 작성,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바로 '등록기준지'일 겁니다. 등록기준지는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게 정해야 할까요?

등록기준지란?

쉽게 말해, 과거 호적의 '본적'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가족관계등록부라는 공적 장부에 기록되는, 개인의 뿌리를 나타내는 주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등록기준지, 누가 어떻게 정할까?

  • 2008년 이전 출생자: 기존 호적의 '본적'이 자동으로 등록기준지가 됩니다. 따로 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2008년 이후 출생자: 처음 가족관계등록부가 만들어질 때 부모님이 자유롭게 정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의미를 담아 선택하거나, 단순히 편리한 주소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중요 팁: 등록기준지는 실제 거주지와 달라도 상관없습니다. 살면서 변경도 가능합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피드백 0 좋아요 수

혼인신고 시 등록기준지가 중요한 이유와 정확한 의미는 무엇일까요?

음… 등록기준지?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도 처음엔 좀 헷갈렸어요. 결혼할 때 왜 이게 중요한지, 뭐하는 건지… 제 친구 결혼할 때 얘기 듣다가 알게 된 건데, 결혼 신고할 때 주소 같은 거랑은 좀 다른 개념이더라고요.

2008년 이전에 태어난 사람들은, 예전 호적에 나와있는 본적이 등록기준지가 된대요. 제가 알기론, 제 사촌 누나(80년생)도 그렇더라고요. 그래서 자기 고향 동네가 등록기준지라고 하더군요. 근데 2008년 이후에 태어난 사람들은… 부모님이 마음대로 정할 수 있다는 거 같아요. 제 동생(2010년생)은 부모님 고향으로 했대요. 어디서 들었는지 정확히 기억은 안 나는데, 그렇게 들은 기억이 나네요.

결국, 등록기준지가 중요한 이유는… 아마도 가족관계 등록부를 어디에 둘지, 관할 기관을 정하는 기준이 되는 것 같아요. 그 기준이 과거 호적제도에서 이어져 내려오는 부분도 있고, 최근엔 부모가 선택할 수 있게 바뀐 부분도 있고… 좀 복잡하죠. 제 생각엔 법적인 절차를 위한 중요한 기준점 같은 거라고 봅니다. 어디까지나 제 생각이지만요.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법률 전문가에게 문의하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저는 그냥… 제 주변 경험을 바탕으로 말씀드린 거니까요.

출생신고서에서 본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아 맞다, 출생신고서! 거기 ‘본’이 뭐였더라? 갑자기 궁금해졌어.

  • 본은 성씨의 뿌리 같은 거라던데. 어디서 들었더라?
  • 내 자식은 누구 본을 따르지? 당연히 아빠, 즉 내 본을 따르겠지? 으음…

잠깐만. 원칙적으로는 아빠 성이랑 본을 따르는 게 맞대. 민법에 나와있대. [법률 조항 참고: 민법 제781조제1항]

근데, 엄마 아빠가 혼인신고 할 때 ‘우리 애는 엄마 성, 본으로 할게요!’ 하고 미리 찜콩하면 엄마 쪽으로도 가능하다는 거! 오호, 몰랐네. 우리 부부는 그런 거 안 했는데… 애초에 이런 선택지가 있는 줄도 몰랐어. 헐.

  • 만약 내가 딸만 낳았으면 좀 고민했을지도? (갑자기 딴 생각)
  • 결론: 내 자식은 자동으로 내 성, 내 본 따라감. 땡!

아, 그리고 중요한 거!

  • 본관이라고도 하잖아. ‘경주 김씨’, ‘전주 이씨’ 할 때 그 ‘경주’, ‘전주’ 같은 거!
  • 출생신고서에 그거 적는 칸이 있었던 것 같기도 하고… 가물가물.
  • 본을 바꾸는 것도 가능은 하대. 엄청 복잡하다고 들었지만. 굳이 왜 바꿔? (나의 질문)

본이라는 게 참 신기해. 조상님들의 흔적 같은 거니까. 갑자기 족보라도 찾아봐야 하나. ㅋㅋㅋ 귀찮아.

#등록기준지 #주민등록 #혼인신고